본문 바로가기

건강관리 정보

미주신경성 실신 원인과 증상 총정리|꼭 알아야 할 생활 속 예방 대처법 진단 방법 치료까지 한 번에 정리!

반응형

미주신경성 실신

1. 미주신경성 실신이란?

미주신경성 실신은 가장 흔한 실신(기절) 유형입니다.
강한 자극이나 특정 상황에서 자율신경계 과민 반응 → 심박동 저하 및 혈압 저하 → 뇌 혈류 감소 → 일시적 실신이 발생합니다.

🔹 영어 명칭: Vasovagal Syncope
🔹 대개 양성(심각한 심장/뇌질환과 무관)
🔹 넘어지면서 발생할 수 있는 부상에 주의 필요

 

2. 주요 원인 및 증상

반응형

우리 몸은 항상 심장 박동과 혈압을 자동 조절하는 자율신경계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요.
그런데 어떤 자극을 받으면 이 시스템이 과도하게 반응해서 오히려 몸에 혼란이 오게 됩니다.

 

✔️ 강한 자극(공포, 통증 등)을 받으면 ➡️ 미주신경이 과활성화됩니다.

✔️ 미주신경이 심장을 느리게 하고, 혈관을 확장시켜 ➡️ 혈압이 급격히 떨어집니다.

✔️ 결과적으로 ➡️ 뇌로 가는 혈액이 일시적으로 부족해져 실신하게 됩니다.

원인 설명
감정적 충격 강한 놀람, 슬픔, 공포, 통증 등 극단적 감정 변화
장시간 서 있기 혈액이 다리에 고이면서 뇌로 가는 혈류 감소
탈수 수분과 염분 부족 → 혈액량 감소 → 혈압 저하
공복/저혈당 에너지원 부족 → 뇌 혈류 및 심장 기능 저하
과도한 운동 직후 운동 후 급격히 정지 → 혈관 조절 실패
더운 밀폐 공간 체온 상승, 혈관 확장 → 혈압 급락
피나 상처 보는 자극 채혈, 주사, 수술 등에서 시각적/심리적 자극
강한 냄새나 통증 불쾌한 자극에 대한 신경 반응

💡 핵심 포인트 : 같은 자극이라도 사람마다 민감도가 다르기 때문에, 어떤 사람은 사소한 자극에도 실신할 수 있어요.

 

📌 증상 : 실신 전후 어떤 변화가 생길까?

🔹 어지러움, 현기증
머리가 핑 돌거나, 눈앞이 하얗게 흐려지는 느낌이 듭니다.

 

🔹 메스꺼움, 복통
속이 울렁거리거나 소화불량처럼 배가 아플 수 있어요.

 

🔹 식은땀, 차가운 땀
온몸에 차가운 땀이 나며, 피부가 축축해지고 불쾌한 느낌이 듭니다.

 

🔹 얼굴 창백화
피가 빠지는 듯한 느낌과 함께 얼굴색이 하얗게 변합니다.

 

🔹 시야 이상
눈앞이 점점 좁아지며 터널처럼 보이거나, 앞이 캄캄해집니다.

 

🔹 심한 피로감, 힘 빠짐
몸에 힘이 빠지고, 무릎이 풀리는 듯한 느낌이 듭니다.

 

🔹 침 분비 증가
입 안에 침이 과도하게 고이기도 합니다.

미주신경성 실신

📌 실신 직후의 특징

  • 서서히 쓰러짐 : 갑자기 탁 넘어지기보다 천천히 주저앉거나 미끄러지는 경우가 많습니다.
  • 짧은 의식 소실 : 대개 수십 초 이내에 자연스럽게 깨어납니다.
  • 누우면 회복이 빠름 : 똑바로 눕히면 뇌혈류가 정상화되어 1분 이내 의식이 돌아옵니다.
  • 경련이 동반될 수 있음 : 순간적으로 팔다리가 튀는 움직임이 나타나 간질로 오인될 수도 있으나, 미주신경성 실신에서는 금방 정상 회복됩니다.

🚑 주의
쓰러지면서 머리를 부딪히거나,
넘어지면서 다치는
이차적 사고가 가장 큰 위험입니다!

3. 진단 방법

≪기본 진단 흐름≫ 

✔️ 환자의 증상, 상황 청취

✔️ 위험 심장질환, 뇌질환 여부 감별

✔️ 필요 시 추가 검사

 

≪주요 검사 항목≫

검사명 목적
심전도(EKG/ECG) 심장 리듬 이상 확인
심장 초음파 심장 구조적 문제 확인
운동 부하 검사 운동 시 심장 기능 평가
혈액 검사 빈혈, 저혈당, 전해질 이상 체크
뇌파 검사/뇌 MRI 간질, 뇌혈관 문제 감별

✅ 특수 검사: 기립경사 검사

  • 누운 상태 → 서는 자세로 천천히 변경
  • 혈압과 심박수 변화 관찰
  • 실신 증상 유발 시 미주신경성 실신 가능성 확인

 

4. 치료 및 관리 방법

≪기본 치료 방향≫

  • 실신 예방 교육
  • 생활습관 개선
  • 전조 증상 대처법 연습

 

≪응급조치 방법≫

  • 어지러울 때 즉시 앉거나 눕기, 다리 올리기
  • 고개를 무릎 사이에 숙이기
  • 넘어지지 않도록 주변 확보

 

≪생활습관 관리법≫

  • 💧 충분한 수분 섭취 (2L 이상)
  • 🍽️ 규칙적 식사 및 가벼운 염분 보충
  • 🧍 서 있을 때 다리 근육 움직이기 (까치발, 무릎 굽히기)
  • 🧠 트리거 인식 및 회피
  • 💪 카운터프레스 동작 연습(다리 꼬기, 주먹 꽉 쥐기)

 

≪약물 치료≫ (필요 시)

약물명 특징
미도드린
(Midodrine)
혈관 수축 → 혈압 상승
플루도코르티손
(Fludrocortisone)
체내 수분/염분 보유 촉진
기타
(SSRIs 등)
제한적 사용, 근거 부족

※ 베타차단제는 현재 거의 사용하지 않음

 

≪시술 치료≫ (아주 드물게)

  • 심박조율기(Pacemaker) 삽입: 고령 심장억제형 실신 환자 대상
  • 심장 신경절 절제술(Cardioneuroablation): 연구 단계, 난치성 실신 환자에 시도 중

 

5. 예방 방법

  • 💧 수분, 염분 충분히 섭취
  • 🍽️ 규칙적인 식사, 당분 보충
  • ☀️ 과도한 열 노출 피하기
  • 🧍‍♂️ 오래 서 있을 때 다리 움직이기
  • 🧠 트리거 상황 대비 및 대처법 연습
  • 🛌 충분한 수면과 체력 유지

전조 증상 인지 → 즉시 대응
(앉기, 눕기, 다리 꼬기 등)

주변인과 공유하여
응급 대처 가능성 높이기!

✅ 최종 정리

👉 미주신경성 실신은 생활습관 관리와 대응 요령만으로도 충분히 예방 및 관리가 가능합니다.
👉 수분 보충, 규칙적 식사, 전조 증상 대응법을 숙지하여 실신 걱정 없이 건강한 일상을 유지하세요!


 

저혈압 원인 현기증 기립성 실신 증상 합병증 및 예방법과 치료법 총정리

혈압이란?혈압(Blood Pressure)이란 심장이 혈액을 펌프질할 때 동맥 벽에 가해지는 압력을 말하며, 수축기 혈압(최고 혈압)과 이완기 혈압(최저 혈압) 두 가지 값으로 표현됩니다. ㆍ수축기 혈압 (S

soooyeoni.tistory.com

 

이석증 증상과 원인 치료방법 총정리 | 어지럼증 해결하는 자가 운동법 및 생활습관

이석증(양성 발작성 두위 현훈, BPPV)이석증(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, BPPV)은 귀 속 작은 이석(otolith)이 정상 위치에서 떨어져 나와 반고리관(semicircular canals)으로 들어가면서 발생하는 어지럼증

soooyeoni.tistory.com

 

반응형